
우리투데이 이동현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정기간행물 등록 현황을 보면 은평구의 청소년들이 만드는 '토끼풀'이란 언론사는 현재(2025년 10월 18일 기준) 일반일간신문(343), 인터넷신문(12,982), 일반주간신문(1,290), 뉴스통신(37), 특수일간신문(40), 잡지(5,936), 특수주간신문(1,682), 기타간행물(2,143) 총 24,453개 중에 서울시에 정식으로 특수주간신문으로 등록된 합법적 신문이다. 따라서 은평구 학생들이 만든 '토끼풀' 언론사는 '신문법'으로 보호받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문의 배포를 막고, 신문을 수거하는 행위는 현행법 위반이다.
현재 은평시민신문 2024년 8월 21일자 기사에 따르면 토끼풀 타임즈는 서울 은평구 연신중학교를 비롯해 불광중학교와 영락중학교 등에도 배포가 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매월 2회 발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토끼풀 타임즈'는 청소년의 시선에서 바라본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있으며 장애.학생.인권 문제부터 교통비 부담, 교내 시험범위 정보, 학내 추경예산 편성 등 학생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문제들을 주제로 삼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게다가 신문을 읽지 않는 시대에 살고 있는 작금의 언론 환경에서 지자체를 비롯해 교육청, 해당 학교에서는 정책적으로 지원을 해줘야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해당학교에서 신문의 배포를 막고, 신문을 수거하는 행위는 있어서는 안될 불법적인 행위이다.
기사에 따르면 ‘토끼풀 타임즈’ 문성호 발행인은 “신문을 만드는 이유는 유튜브와 같은 디지털 매체는 오히려 진부하고, 빠른 소비를 위한 플랫폼으로 여겨져 깊이 있는 논의가 어려운 반면, 신문은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보다 진지하게 다룰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신문이 깊이 있는 분석과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본지는 해당 학교를 비롯해 은평구청과 교육청 취재를 통해 '불법적인 행위'가 있을시에 보도를 통해 알리고 시민단체와 공동으로 관계자들을 고발조치할 예정이다.
‘토끼풀 타임즈’는 정식으로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을 마친 정기간행물임에도 불구하고 '신문법'에 의해 보호받지 못하는 것은 비단 ‘토끼풀 타임즈’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언론사의 문제로 확대될수밖에 없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registered periodicals database, as of October 18, 2025, the youth-run publication ‘Rabbit Grass’ from Eunpyeong-gu is listed among 343 general daily newspapers, internet newspapers (12,982), general weekly newspapers (1,290), news agencies (37), special daily newspapers (40), magazines (5,936), special weekly newspapers (1,682), and other publications (2,143), totaling 24,453. Therefore, the ‘Rabbit Grass’ media outlet created by Eunpyeong-gu students should be protected under the ‘Newspaper Act’.
Nevertheless, blocking the distribution of the newspaper and collecting it violates current law.
According to a current article in the Eunpyeong Citizen Newspaper dated August 21, 2024, the Rabbit Grass Times appears to be distributed to schools including Yeonsin Middle School, Bulgwang Middle School, and Yeongnak Middle School in Eunpyeong-gu, Seoul, and is known to be published twice monthly. Furthermore, the ‘Rabbit Grass Times’ covers various social issues from a youth perspective, addressing topics ranging from disability, student rights, and human rights issues to the burden of transportation costs, information on exam scope within the school, and the allocation of supplementary budgets within the school. human rights issues to transportation costs, exam scope information, and supplementary budget allocations within schools.
Moreover, in today's media environment where people increasingly avoid reading newspapers, local governments, education offices, and the schools themselves should provide policy support. Instead, the act of blocking the newspaper's distribution and collecting copies at the school is an unacceptable illegal act.
According to the article, Moon Seong-ho, publisher of the ‘Rabbit Grass Times,’ stated, “We produce newspapers because digital media like YouTube are seen as outdated platforms for quick consumption, making in-depth discussion difficult. Newspapers, however, are a medium that can address the problems faced by youth more seriously.” He added, “Newspapers provide deep analysis and reliable information.”
This publication plans to report on any ‘illegal activities’ discovered through investigations involving the school, Eunpyeong-gu District Office, and the Office of Education. We will also take joint action with civic groups to file complaints against those involved.
Although ‘Rabbit Grass Times’ is a formally registered periodical wit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ts lack of protection under the ‘Newspaper Act’ is not merely an issue for ‘Rabbit Grass Times’ alone; it inevitably becomes a problem for all media out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