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투데이 이승일 기자 | 국가유산청이 춘천시가 추진하는 정원소재실용화센터 온실 공사를 중지시키기로 약속하고도 위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9일 시민단체 중도본부는 25일 국가유산청이 춘천시 정원소재실용화센터와 온실 공사를 중지 시키겠다 약속했음에도 중지시키지 않았다며 통화녹음 등 관련 자료들을 공개했다.
지난 4월 3일 중도본부가 해당 공사현장을 방문 중 대량의 매장유산을 발견하여 국가유산청과 춘천시에 신고했고, 당일 현장 확인 후 공사는 중지됐다.
이후 춘천시는 4월 4일~16일까지 4차에 걸쳐 총 363점의 매장유산을 수습했다.
발견 수습된 363점 중 토기편이 273점, 기와편이 44점으로 유구가 분포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부분이었다.
해당 공사현장은 지난 2022년 실시된 ‘조선문학유산복원사업 부지’에 대한 시굴조사에서서 유구가 없다고 보고되어 2023년 실시된 정밀발굴조사에서 제외된 부지다.
2022년 당시 춘천시와 고고학발굴기관은 전체 사업부지 36,025m² 중 8,000㎡에서만 유구가 발견됐다고 보고했고, 국가유산청의 허가에 따라 8,000㎡에 대해서만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했다.
4월 4일 춘천시는 1차 수습에서 41점의 유물이 발견되자 점검을 중지하고, 당일 고고학전문가들을 초빙해서 현지점검을 실시하고 ‘자문의견서’를 작성하도록 의뢰했다.
7일 춘천시는 발견신고 된 매장유산들이 구하도에 성토된 지층에서 나왔으므로 유구가 없다는 내용의 ‘자문의견서’를 국가유산청에 제출했고, 청은 ‘자문의견서’를 인용하면서 현지점검 없이 공사를 재개하도록 허가했다.
23일 춘천시는 정원소재실용화센터와 온실 공사를 재개시켰다.
다음날인 24일 중도본부는 ‘자문의견서’를 분석하여 국민신문고를 통해 4월 수습된 363점의 매장유산은 대부분 구하도가 아니라 지대가 높은 고산 마을유적과 인접한 부지 경사면에서 발견됐음을 지적하고 현지점검과 공사중지를 촉구 했다.
25일 국가유산청 담당직원 J씨는 중도본부와의 통화에서 ‘자문의견서’의 문제점을 인정하고 공사를 중지시키기로 했었다.
당시 J씨는 “공사를 하면 문제가 되니까 그 부분들은 춘천시에 조치 시키겠다”며 “저희가 전문가 의견을 통해서 그에 대한 판단을 다시 받은 다음에 실제적인 문제가 없을 때 그때 공사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에 따라 중도본부는 국가유산청에서 공사를 다시 중지시키기로 했다고 소식을 전했다. 그런데 같은 날 J씨는 춘천시에 공사중지를 지시하지 않았다.
28일 김종문대표가 “공사중지 지시하신다고 하셨는데 지시하셨습니까? 라고 묻자 J씨는 ”지시한다고 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보도자료에서 중도본부 김종문대표는 “국가유산청은 사업시행자인 춘천시가 졸속으로 현지점검을 하고 허위의 내용으로 작성된 ‘자문의견서’를 제출했음에도 그대로 인용하면서 공사를 지속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