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용본 교수 (기고) | 티벳사람과 일본사람은 참 닮은 점이 많다. 생명에게 신을 불어 넣어 존중하고 아낀다. 몽골사람도 마찬가지다. 착하다. 난 역사를 몽골에서 다시 찾았다. 우리가 잃은 99%다. 한국에서 옳바른 역사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유일하게 김정민박사 뿐이다. 잘하는 사람을 응원하고 바라봐 주는 것이 평범한 우리다. 착한 마음은 힘들다. 진심의 마음을 갖고 있기도 쉬운 일이 아니지만 할 말이 있어도 보통은 함부로 말을 하지 않는다. 신중하기 때문이다. 요즘.. 거리로 나온 목소리에 대중 다수가 응원하고 지지하는 모양이다. 그러나.. 최근 등장한 학원강사 전한길을 자세히 관찰하면.. 기독교 감성자들의 조직화, 군중화는 결국 정치적 목적의 친중 돌격대장 전광훈(조원진, 나경원, 김무성, 윤상현) 목사와 결이 같다. 전한길이 언급하는 정치인(오세훈, 김문수, 원희룡, 홍준표)이 친중을 지지하는 것까지 똑같다. 온갖 좌파 연애프로그램의 무분별한 출연은 쉽지 않은 일이다. 강력한 의심의 이유다. 한명 더 있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엠킴(기독교를 이용하는 사악함)이다. 난 우리들의 진짜 음성이 그립다. 어린 아이들은 뭐든 빠르게 타락된다. 어른들의 정의로운 모
구용본 교수 전 경호관 기고 | 노무현의 사람들.. 대통령경호관은 물론 대통령비서관, 지지하는 국민들.. 당시 노무현을 좋아하던 젊은 국민들은 그의 정의로운 사회, 존중과 배려가 넘치는 따뜻한 국가관에 공감하고 응원하던 사람들이었다. 지금의 민주당과 전혀 다른 정권이었고 사람들이었다. 노무현 주변에는 크게 세부류의 집단이 있었다. 학생운동권, 노동계, 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다. 세부류의 균형과 조화를 대통령은 중요하게 생각했던것 같다. 국격이 무엇인지 국민 대통령의 권위가 무엇인지.. 해외순방을 곁에서 함께 수행했던 젊은 우리 경호관들은 우리 자신과 대통령을 자랑스러워 했다. 충성의 의미와 깊이가 달랐다. 대통령에 대한 존경과 사랑이다. 노무현대통령의 국무회의에서 두번이나 강조한 이야기가 있다. 경호실과 검찰이 합쳐지면 좋겠다는 구체적인 말씀이었다. 두번이다. 나와 강성은경호관의 근무시(주요 근무는 수행부경호관이 맡는다) 말씀이다. 경호실과 검찰 조직에 대한 대통령의 구상을 우리는 충정관(경호부처 건물)에 전파하였지만, 당시 경찰출신 경호실장 김세옥은 어떻게든 음폐하려 했다. * 신기하게도 경찰출신 김세옥실장은 나와 강성은은 물론 수행부 최고요원 경호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