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데이 이승일 기자 | (사)한국현대무용협회(이사장 김형남, 세종대학교 교수)가 주최하는 안무가 매칭 프로젝트 제27회 생생 춤 페스티벌이 오는 9월 3일부터 6일까지 서울아트센터 도암홀에서 개최된다. 매년 독립안무가와 전문예술단체의 매칭을 통해 다양한 시너지를 내는 무대를 선보이는 안무가 매칭 프로젝트 생생 춤 페스티벌은 올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후원을 받아 ‘세상의 모든 공연축제’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아르코 썸 페스타(ARKO SUM FESTA) - 대한민국무용대축제 프로그램에 합류하게 되었다. 특히 올해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다년간 지원을 기반으로 축적해온 ‘안무가 매칭 프로젝트’가 국제협업 공모로까지 확장되며, 국내 안무가와 해외 단체가 공동 창작한 무대를 선보인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감각이 만나 탄생한 작품들은 한국 현대무용이 글로벌 무대와 직접 맞닿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번 페스티벌에서는 올해 7월 공모로 총 24팀이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19팀의 안무가 × 예술단체 매칭, 3팀의 New Generation Collection, 2팀의 국제협력 단체들의 무대가 4일간 펼쳐진다. ‘국제협력’ 공모를 통해 선정된 Leila McMill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서해대교와 붉게 물든 서해가 어우러진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 행담도 그곳에 가면 문학의 가슴 시린이를 만날 수 있다. “심훈(沈熏)”은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문학가, 독립운동가, 영화인입니다. 본명은 심대섭(沈大燮)이며, 1901년 9월 12일 충청남도 당진에서 출생하여 1936년 9월 16일에 요절했습니다. 그는 일제 강점기 조선 민중의 자주 독립 의지와 농민 계몽, 애국정신을 문학과 예술로 표현한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날이 오면 – 갈매기의 꿈을 꾸는 사람! 굿즈가, 여행의 심볼이 되다. K=POP 열풍에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아니다. 고리타분하고 지루하기는 하지만 박물관 이야기다. 유튜브 스케치를 하던중 국립중앙 박물관 굿즈 숏 영상을 보고, 찬사를 보냈다. 40여년 외길이라면 외길인. 이 길을 걸어오며, 늘 정거장처럼 기다리는 곳은 박물관 미술관이였다. ART. 철학, 역사, 자연, 이런 줄거리가 생활처럼 살아온 나로써는 여간 반가운 이야기가 아닐수 없다. 200억 매출을 해낸 국립중앙 박물관 굿즈가 세상을 보는 나의 관점에 더 한층 신념을 불태우게 하는 것은 무엇일가! 투명한 소주잔이 스스로 체온을 감지하여 변하는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여류시인 신경애 그의 시 세계는 여류시인에게서 맛볼수 없는 장엄하기 까지한 대한민국 금수강산의 뼈대. 태백산맥의 혈을 표상하고 있다. 일시적으로 잠깐 맛본 시상이 결코 아님을 알 수 있는 것은 -해거름 멈추기 전에 주섬주섬 세간챙겨 하늘 한가닥 이불로 덮고 꿈나라로 길내면서 한걸음 두걸음 이사들다 서해안에 이르렀네- 과연 하늘 한가닥 이불은 무엇이며! 한걸음 두걸음 이사들다 서해안이 이른곳은 무엇이며 어디일까! 섣달 그믐날<갑진년 설날에>, 어찌하면, 동막골 처녀. 2024년 6월 신인문학상 시부문 <신문예> 제 90회 신인응모 우수작으로 당선된 신경애 시인의 작품이다. 시인 신경애의 아뜰리에에서 꽃핀 리맴버위원회의 단상을 안내한다. 신경애 시의 단상에서 꽃핀 아뜰리에 (리맴버위원회) <섣달 그믐날> 까치까치 설날은 어저께라기에 섣달 그믐날은 까치 생일인줄 알았습니다. 잠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기에 뜬눈으로 날세워 설날이 되는줄 알았습니다. 섣달 그믐날 밤에 한 살 더 먹는다기에 자다 깨고 또 깨면 서너살 더 먹는줄 알았습니다. 몇 번이나 자다깨고 또 잤기에 벌써 설흔! 마흔! 쉰고개를 훌쩍 넘었을까!
우리투데이 이승일 기자 | (사)한국현대무용협회(이사장 김형남, 세종대학교 교수)가 주최하는 MODAFE 2025 (제44회 국제현대무용제, Modern Dance Festival)가 지난 6월 1일(일)부터 6월 15일(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마로니에공원 일대에서 펼쳐졌다. 이번 MODAFE는 기존의 초청 중심 페스티벌에서 참여 중심 페스티벌로 전환한 첫 해로, 국내·외 무용예술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교류하는 글로벌 플랫폼으로의 새로운 방향성을 선보였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전 세계적인 예술 지원 축소 흐름 속에서도 MODAFE는 무용예술의 국제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참여와 협업 중심의 지속 가능한 페스티벌을 위한 과감한 전환을 시도했다.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MODAFE는 주영한국문화원과 영국의 더플레이스(The Place)와의 MOU를 체결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대를 본격화하려 한다. 영국 더플레이스의 프로그래밍 및 제작 총괄인 크리스티나 앨리엇(Cristina Elliott)은 “MODAFE와의 MOU 체결을 통해 양국의 작품을 자유롭게 소개되고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될 것”이라며 MOU 체결에 대한 기대를
우리투데이 이승일 기자 | (사)한국현대무용협회(이사장 김형남, 세종대학교 교수)가 주최하는 국제현대무용제 MODAFE는 올해 제44회를 맞이하여 ‘Open to All, Creation is Omnivorous’라는 주제 아래, 단순 초청을 넘어 예술가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글로벌 창작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한다. 특히 신설된 국제공모 프로그램 ‘International Spark Place’는 MODAFE의 변화를 상징하는 핵심 프로젝트로, 전 세계 31개국에서 총 83개 팀이 지원했고, 이 중 16개 팀이 최종 선정되어 무대를 펼친다. 본 프로그램은 대극장과 소극장 두 부문으로 나뉘어 경연 형식으로 진행되며, 우승자에게는 MODAFE 2026의 공식 초청 및 제작 지원의 기회가 제공된다. 심사에는 국내 전문가를 비롯해 영국 더플레이스(The Place)의 프로그래밍&제작 책임자 크리스티나 엘리엇(Christina Elliot), 전 시드니댄스컴퍼니(Sydney Dance Company) 프로그래머 브랜든 오코넬(Brendan O’Connell) 등 세계적 무용 인사들이 참여해, MODAFE의 국제적 위상을 한층 끌어올릴 예정이다. 또한, 이번
인천 서구청에서 검단방향으로 200여미터를 가다보면 '한국불교조계종 지용정사'라는 간판이 있는 상가건물이 나온다. 그곳에 가면 3층에 아담한 크기의 작은 법당을 만나볼수가 있다. 처음 방문했으나 서울에 가셨다는 얘기를 듣고 만나지 못하고 돌아왔다. 다음날 경기도 양평 옥불사에 계시다는 얘기를 듣고 찾아가 만난 법운 스님(김안석)은 자동차에서 돌돌 말아서 가지고 다니는 족좌를 펼치셨다. 길이가 13미터에 달하는 '호랑이 그림'을 보면서 그림속에 그려진 호랑이 총 마리수를 세보니 32마리였다. 또한 그외에도 12개월을 의미하는 12명의 각각 마른 모습의 달마 그림, 청룡 그림, 등을 접하면서 법운 스님(김안석)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편집자주> 다음은 인터뷰 전문이다. Q. 우선 스님 소개를 하신다면? A. 서울 동국대 대학원 불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승가 불교대학교, 동산불교대학교 범음. 범패, 해동불교대학교 범음. 범패, 미국로스앤젤레스 칼빈미센대학대학원(명예동양철학박사), 미국캘리포니아롬비니불교대학원(동양철학, 교사,자격증취득), 한국심리,가정복지,브레인심리, 도형심리(상담사 자격증취득) 등의 학력입니다. 군대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장미축제 철학가 [황금사자상을 찾는 Sherpa] 장미의 향에는 <오래된 미래>가 숨어 있습니다. 황금사자상을 찾아 떠난 사람들, 다름아닌 히말라야를 찾아 꿈을 꾸는 사람들에게 고된 땀방울을 나누어주는 Sherpa족의 신화처럼. 그들은 히말라야 산 정상에 황금사자상이 존재함을 믿고있습니다. 그들은 오히려 <짐꾼>, <안내인>을 자처하며 고된 삶을 연명하지만 가슴 속에는 그 누구도 버금을 수 없는 <꿈>이 살아 숨쉽니다. 그들은 오래전부터, 그들을 사랑으로 지켜주고 있는, <황금사자상>을 신화가 아닌 현상으로 믿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그들의 <등짐>은 오히려 즐거움과 경의로움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우리가 맞이했던 2002 한.일월드컵 [꿈이 이루어진다.] 라는 경의로움 입니다. 우리는 <오래된 미래>로부터 마땅히 품어야할, 선물에 대하여, 함께하는 축제를 꿈꾸고 있습니다. 2025.6.3. 대통령선거의 드라마는 베토벤의 운명 악보처럼 극적이며, 심오하기까지한 멜로디입니다. 우리는 벌써 두명의 대통령을 탄핵시킨 암흑사를 목도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분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장미축제 선언 * 참여주인공, 피노키오, 모나리자, 데카르트의 싸이클로이드, 뱅크시 소녀와 풍선 게임체인지 고흐의 별이빛나는 밤에, 뒤샹 <샘> 변기 모나리자수염, 니체 비극의탄생, 마티스 CUT’S OUT 자코메티 걸어가는사람 가르키는 사람, 퍼포먼스, 100만 롤콜국민 챌린지, 나레인션 연출 너 해봤어, 글쓴이 공선감 2025.5.14. 우리는 국민께 한송이 장미를 선물하기로 하였습니다. 찬란한 유월 호국영령의 혼이, 붉은장미로 피어나는 축제의 계절에 정중히 초대하려고 합니다. 우리는 끝없이 사랑하고, 한없이 용서하고, 넘치도록 친절하려고 합니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에게 반드시 장미 한송이를 가슴에 달아드리는 것이 우리의 소망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일이 물 한방울에 지나지 않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없다면 자유대한민국의 바다는 그 만큼 작아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장미 한송이를 당신의 가슴에 헌증하려고 합니다. 오세요 당신은 오실때가 되었습니다. 님의 침묵을 쓰신 만해 한용운시인의 싯귀입니다. 시인이 천대받는 사회는 병든사회다. 일찍이 일제 식민지 암흑기에 동방의 등불을 자유대한민국에 헌증한 타고르 시인의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장미축제 장미혁명을 시작한다. 우리가문화다. 문화가답이다. 우리는 2025년 6월 3일 대통령선거를 뿕은장미 숲에서 위대한 대한민국을 선언하는 문화축제로 정의했다. 사랑하는 여인에게 장미 한송이를 헌증한다. 우리는 우리 가슴속에 꿈틀거리는 사랑과 희망, 아픔과 용서, 저 푸른 하늘에 쓰여질 새로운 자유대한민국의 원대함을 위하여 <장미축제, 장미혁명, 장미헌장>을 서사한다. 우리는 푸른하늘과 저 푸른 대지위에 우뚝 서있는 깃발을 본다. 우리는 도도함과 명백함으로 담아낸 자유대한민국의 자유정신에 대하여 끝없는 경의를 품고 있다. 우리는 켜켜히 쌓아논 우리문화의 정수를 맞이하며 반지성주의 <독이든 설탕>을 분명히 직시하며 온전함을 위하여 문화, ART, 철학의 바탕위에서 대통령선거를 한걸음 내딪기로 하였다. [장미축제다] 푸른하늘 저 푸른 대지 우뚝솟아 흐르는 금수강산의 깃발 위대한 대한민국의 깃발이다. 우리의 깃발은 치유다. 우리는 영혼의 미술관 책방을 위하여 분연히 준비하였다. 반지성주의와 하이브리드전쟁의 <백신>은 치유임을 알고 있기에 <하얀나비 문화제>, <대한민국 Roll-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