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째 세습 직보하던 정찰총국 간부가 8년전 망명 하였다. 북한 정보 핵심중의 핵심 정보 관리자가 망명하여 국내에 체류한다. 북한의 당중앙 위원회 전략과 정보를 취합하여 최고 통치자에게 직보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직접 지시했던 김국성님을 만나 보았다. 김씨는 남한은 북한을 너무 모른다고 하였다. 김씨는 남한 인사들이 알고있는 북한 정보는 모두 올바른 정보가 아니라고 하였다. 북한 실상을 바로 알리는 사명감을 가진다고 했다. 김씨는 2014년 8년전 망명하였고 망명한 이유는 북경에 파견근무할때 장성택을 처형하는 김정은의 만행에 생명의 위협을 느껴 대한민국에 망명을 하였다. 북한 정보기관도 취급할수 없는 최고급 정보를 알고 있는 김씨는 황장엽선생보다 더 많은 정보를 알고있는 최고급 고위 간부다. 북한에서 천안함 사건을 저지른 김영철과는 막역하게 술잔을 기울이는 사이며 대남 테러 요인 암살 포섭등을 직접 관리하고 수행하는 업무를 진행하였다고 한다. 김씨는 언론에 신상 노출은 위험하지 않는가 하니 위험하지만 위험을 무릎쓰고 밝혀야 하는 사명감으로 취재에 나오게 되었다. 김정은이 장성택을 처형한 이유는 일반에 알려진 것보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세종 5권, 1년(1419 기해 / 명 영락(永樂) 17년) 8월 2일(갑술) 4번째기사|닥나무.세초.한지지폐 임금이 말하기를, “금·은의 금지령이 이미 시행되어서 민간에서는 쓰지 못할 것이요, 민간에 미곡이 매우 귀하다 하니, 미곡으로 금·은을 사들이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 한즉, 공조 참판 강회중(姜淮仲)이 아뢰기를, “쌀값이 매우 비싸서, 백성들이 사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 하였다. 임금이, “그러면 값을 싸게 하여 팔라. ” 하니, 예조 판서 허조(許稠)가 대답하기를, “요사이 민간에서 떠들썩하게 전하기를, 국가에서 장차 저화(楮貨)195) 를 쓰지 않을 것이라 하여, 저화 한 장 값이 쌀 서 되에 지나지 아니하니, 이것도 염려되지 않을 수 없는 일인즉, 금·은의 예에 의거하여 쌀로 사들이게 하시기 바랍니다. ” 하니, 임금이 그렇게 하라고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2책 5권 1장 A면 【영인본】 2책 329면 【분류】 *물가-물가(物價) / *금융-화폐(貨幣) [註 195]저화(楮貨) : 지폐. ☞ 세종 52권, 13년(1431 신해 / 명 선덕(宣德) 6년) 6월 2일(갑오) 7번째기사|닥나무.세초.한지지폐 하교하기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태종29권, 15년(1415을 /명 영락(永樂) 13년) 6월 16일(신사) 2번째기사 태종29권, 15년(1415을 /명 영락(永樂) 13년) 6월 16일(신사) 2번째기사|닥나무.세초.한지지폐 호조에서 전폐법(錢幣法)을 올렸다. 진산 부원군(晉山府院君)하윤(河崙)이 대궐에 나아와 문안하니, 임금이 편전(便殿)에서 인견하였다. 하윤이 나와서 승정원에 말하였다. “성상이 동전(銅錢)을 행용하려고 하는데, 진실로 좋은 법입니다.” 이윽고 호조에 명하여 주전 제도(鑄錢制度)를 의논하여 아뢰게 하였다. 호조에서 상언(上言)하였다. “신 등이 삼가 역대의 전적(典籍)에 실린 것을 상고해 보니 3대(三代)3386) 이래로 모두 전폐(錢幣)를 사용하였는데, 회자(會子)3387) 나 혹은 교자(交子)3388) 로써 겸행(兼行)하였습니다. 오늘날 국가에서 이미 저화(楮貨)를 행용(行用)하여 전조(前朝)의 포폐(布幣)의 사용을 혁파하였으니, 백성들이 그 이익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용할 때에 있어서 미진(未盡)한 것이 있으니, 바라건대, 당(唐)나라개원(開元) 연간(年間)의 오수전(五銖錢)3389) 제도에 의하여 조선통보(朝鮮通寶)를 주조하여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조선시대 한지로만든 저폐(지폐) 를 사용하자고 조정대신들과 의논한 기록이다. 태종19권, 10년(1410 경인 / 명 영락(永樂) 8년) 5월 15일(신사) 5번째기사|닥나무.세초.한지지폐 다시 저화(楮貨)를 쓸 것을 의논하였다. 의정부(議政府)에서 아뢰기를, “호조(戶曹) 첩정(牒呈)에 의거하면, 화폐(貨幣)를 쓰는 법이 대(代)마다 각각 같지 않습니다. 양한(兩漢) 때에는 동(銅)을 부어 전(錢)을 만들고, 가죽[皮]을 제조하여 폐(幣)를 만들었으며, 당(唐)나라의 저권(楮券)과 송(宋)나라의 교자(交子)1697) 는 그 쓰인 바가 비록 다르나, 백성을 이롭게 한 뜻은 한가지였습니다. 전조(前朝) 때에 능(綾)·나(羅)·병(甁)으로 화(貨)를 삼았는데, 후세(後世)에 포화(布貨)로 대신하였으니, 이것은 예전에 어긋날 뿐 아니라, 길쌈[紡續]의 공력(功力)과 운반[轉輸]의 무거움을 어찌 생각지 않을 수 있습니까? 하물며, 지금 상국(上國)에서는 바야흐로 초법(鈔法)을 행하고 있는데, 오직 우리 나라에서만 전조(前朝) 말류(末流)의 폐단에 구애되어 그대로 추포(麤布)를 사용하고 있으니, 매우 미편(未便)합니다. 마땅히 상고(上古)를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조선실록에 나오는 한지기록을 스크랩하여 연재 하기로 한다. 우리 조상들의 한지사용과 기록된 역사를 보고 전통문화가 첨단산업의 보물창고로 인식되는 기회가 되어 4차 산업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지표가 되기를 바란다. 태종19권, 10년(1410 경인 / 명 영락(永樂) 8년) 6월 29일(갑자) 3번째기사|닥나무.세초.한지지폐 의정부(議政府)에 명하여 저화(楮貨)를 의논하게 하였다. 임금이 하윤(河崙)의 헌의(獻議)로 말미암아 이응(李膺)·황희(黃喜) 및 여러 대언(代言)을 불러 말하기를, “저폐(楮幣)의 이익을 내가 가볍게 중지하였다. 정부(政府)로 하여금 다시 의논하게 하라.” 하니, 김여지(金汝知)가 아뢰기를, “신이 계미년에 일찍이 대원(臺員)이 되어, 대사헌(大司憲) 이첨(李詹) 등과 더불어 저폐를 행하기를 청하여 글을 다섯 번이나 올렸으나, 유윤(兪允)을 받지 못하였습니다. 대저 저폐(楮幣)의 법은 동전(銅錢)·피폐(皮幣)·화패(貨貝)· 교자(交子)1713) 가 대(代)마다 각각 같지 않으나, 그 요점은 대개 사람마다 이병(利柄)을 잡지 않게 하려고 한 것입니다. 전하께서 일찍이 상국(上國)에 조회하여 저화의 법을 밝게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한지공예명장이 부산,인천,전주,고양등 지방에서 선정되고 지정된다. 전통공예의 명맥을 이어가는 한지의 매력은 무궁무진하다. 한지공예의 깊은 매력에 빠져 있다보면 격조있게 기품이 돋보이는 한지공예의 우수한 작품성 실용성 가치성에 반하게 된다. 인천시에서 한지공예명장에 선정 되신 이미자 명장을 만나보았다. 한지공예는 주로 스승이 있어 도제식 교육으로 전수 되는게 일상이다. 일상도제식 교육과 달리 한지공예를 독학으로 습득하게된 특이한 이력의 주인공이다. *한지공예를 알게된 동기 한지라는 종이를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보자마자 한지에서 풍겨 지는 매력에 빠져들게 되었고 1988년 당시 뒤웅박공예 공방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뒤웅박 재료를 판매하시는 정순석 선생님께서 한지공예 재료를 얹어 판매를 시작하시면서 점차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었고 한국취미생활문화협회 회원들도 재료를 사고 더러는 새로운 디자인도 각자 개발하면서 본래의(뒤웅박공예)작업은 접고 한지공예 작업에 몰두하여 현재의 시간까지 한지공예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한지공예는 누구로부터 배우셨나요? 재료를 정순석선생님께 구입하였으며 서로 좋은 작업 과정, 디자인, 제작기법 등 서로 공유 하는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정계화 고현갤러리 대표는 부산시 한지명장으로 선정되었다. 고(故) 상기호 한지공예가로부터 사사받은 전통공예의 체계에 현대적인 감각을 접목시키며 계승·발전시키고자 힘써온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정 회장은 공예명장 선정에 대해 “영예를 바라고 한 일은 아니었지만, 앞으로는 더욱 강한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한지공예 발전에 힘쓰겠다”는 각오를 밝혔다.또한 “다른 예술분야와 달리 우리 전통공예 분야는 쉽게 접하거나 배울 수 있는 기회가 극히 드문 상황이다. 우리 민족의 역사와 삶, 정신이 담겨있을 뿐 아니라, 해외에서는 그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극찬 받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국내에선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정 회장은 기존 도제식 교육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한지공예의 이론과 문양, 실용 등의 내용을 담은 책을 꾸준히 펴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쌓여 훗날 후배와 제자들의 손에 의해 세계 속에 한지공예가 더 높이 도약할 초석이 되리란 생각에서다.정 회장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일은 곧 우리 모두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일”이라며 “우리의 작은 노력이 우리 사회가 지켜나가야 할 진정한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국민의 힘 의원총회에서 추경호 의원이 이준석 당대표 사퇴결의안을 채택하여 찬반투표중이다.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조선왕조실록에서 한지분야 설명을 발췌하여 정리해보니 우리 조상의 풍부한 어휘에 감탄을 자아낸다. 조지서(造紙署) : 본조에서 처음 설치하였는데, 표(表)ㆍ전(箋)ㆍ자문(咨文)에 소용되는 종이와 제반 지소(紙所)를 관장하게 하였다. ○ 세종이 조지서를 설치하여 자문(咨文)ㆍ표(表)ㆍ전(箋)에 소용되는 종이를 감조(監造)하게 하고, 또 책 찍는 종이와 여러 종류의 종이를 제조하였는데, 그 품질이 한결같지 않아서 고정지(藁精紙)ㆍ유엽지(柳葉紙)ㆍ유목지(柳木紙)ㆍ의이지(薏苡紙)ㆍ순왜지(純倭紙)가 있어 모두 극히 정제(精製)되었고, 서적을 찍은 것 역시 좋았는데, 지금은 다만 고정지ㆍ유목지 두 종류뿐이고, 자문ㆍ표ㆍ전의 종이도 또한 옛날만큼 정제되지 못하였다. 《용재총화》 섬계(중국 종이의 명산지)의 종이로 이루었네 / 渾將剡紙成 [주-D001] 경지(經紙) : 불가(佛家)에서 경적(經籍)에 사용하는 황지(黃紙)를 말한다. [주-D001] 측리지(側理紙) : 종이의 이름이다. 해태(海苔)를 재료로 삼아 제조한 종이인데, 그 결이 종횡(縱橫)으로 비스듬하게 되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주-D001] 끼우는 핫보[隔襦袱] : 옥책의 첩과 첩 사이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흑 호랑이 해인 임인년 벽두에 전통문화 산업중에서도 한지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제언 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한지 발전은 이렇게"라는 슬로건으로 시작한다. 대한민국은 닥나무 한지라는 중요한 보물을 간직하고 있다. 한지박물관에 전시된 한지 유물은 가히 인류역사를 총 망라한 세계에서 보기 드문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지의 쓰임과 한지 박물관은 세계의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단순한 부러움이 아니라 한지의 총체적인 교육 역사 지리적 환경 등이 완벽 하리 만큼 갖추어진 곳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설과 주변 환경이 잘 조성된 곳은 대한민국 어디를 가보아도 보기 드문 한지 박물관 인프라 이다. 훌륭한 환경 여건과 인적자원 기술력을 보유한 대한민국 한지산업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게 된다. 한지를 지역의 중요한 한지문화산업콘텐츠로 살리고 이를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세계적인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천혜의 자연 환경을 보유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한지산업 잠재력은 대한민국 한지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닥나무 식재 사업은 묘목만 지원 하는 것은 바람직한 지원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닥나무 식재사업의 실패 원인이다.. 닥나무산업을 성공